석사생 2명 정도로 운영중인 매우 작은 랩입니다(졸업 후 전원 유학 보내는 중). 그럼에도 본 실험실에 들어오는 석사생은 SCI논문 2~3편(MDPI/Forontiers/Hindawi/American Scientific Publishers 제외, 가능한 한 IF 10 저널 1편 포함), 특허 1편 이상의 실적을 갖고 졸업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지원 바랍니다.
- Metal 재료 - · Printed Electronics용 나노잉크 (Ag, Cu or Alloy)
○ 기타연구분야 (인문 사회계열) · Q방법론에 의한 인식조사 (해기 중심)
○ 주 저자(1저자/교신저지) SCI 논문 (1) 논문 Title : Synthesis of structure-controlled carbon nano spheres by solution plasma process 저널: Carbon, vol.60, pp 292-298 출판 년도 (2013) Impact Factor : 6.196 (JCR 2023 기준 : 10.9) (Role : 1저자 & 교신저자)
(2) 논문 Title: A simple synthesis method for nano-metal catalyst supported on mesoporous carbon: the solution plasma process 저널: Nanoscale, vol.5 (15), pp 6874-6882 출판 년도 (2013) Impact Factor : 7.394 (JCR 2023 기준 : 6.7) (Role : 1저자 & 교신저자)
(3) 논문 Title : Hierarchical meso-macro structure porous carbon black as electrode materials in Li-air battery 저널: Journal of Power Sources, vol.261, pp 156-161 출판 년도 (2014) Impact Factor : 6.217 (JCR 2023 기준 : 9.2) (Role : 1저자 & 교신저자)
(4) 논문 Title : In-situ solution plasma synthesis of mesoporous nanocarbon-supported bimetallic nanoparticles 저널 : RSC Advances, vol.5, pp 29131-29134 출판 년도 (2015) Impact Factor : 3.840 (JCR 2023 기준 : 3.9) (Role : 1저자 & 교신저자)
(5) 논문 Title : A simple synthesis method for nanostructured Co-WC/Carbon composites with enhanced oxygen reduction reaction activity 저널 : Science and Technology of Advanced Materials, vol.17, No.1 pp 37-44 출판 년도 (2016) Impact Factor : 3.798 (JCR 2023 기준 : 5.5) (Role : 1저자)
(6) 논문 Title : In-situ one-step synthesis of carbon-encapsulated naked magnetic metal nanoparticles conducted without additional reductants and agents 저널 : Scientific reports, 6 (1), 38652 출판 년도 (2016) Impact Factor : 5.228 (JCR 2023 기준 : 4.6) (Role : 1저자)
(7) 논문 Title : Synthesis of Silicon-Carbon Black Composite as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y 저널 :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57, 0102B2 출판 년도 (2018) Impact Factor : 1.452 (JCR 2023 기준 : 1.5) (Role : 교신저자, 석사생 1저자) - Invited Paper (초청논문) from JJAP
(8) 논문 Title :Recycling Waste Soot from Merchant Ships to Produce Anode Materials for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ies 저널 : Scientific Reports, 8 (1), 5601 출판 년도 (2018) Impact Factor : 4.259 (JCR 2023 기준 : 4.6) (Role : 교신저자, 석사생 1저자) - 캐나다 Hakaimagazine 인터뷰 기사 : https://www.hakaimagazine.com/news/phone-powered-by-ship-soot/ - The maritime executive 기사 :https://www.maritime-executive.com/article/batteries-could-be-powered-by-soot#gs.AM_WqYI - AZO cleantech 기사 : https://www.azocleantech.com/news.aspx?newsID=25532 - Ship and Bunker 기사 : https://shipandbunker.com/news/apac/390045-ships-exhaust-fumes-and-battery-power-wheres-the-link - 스페인 jornalportuario 기사 : http://jornalportuario.com.br/interna/comercio-exterior-e-logistica/investigadores-revelam-possibilidades-para-a-fuligem-dos-navios - 중국해상네트워크 기사 : http://www.cnss.com.cn/html/2018/myysp_0524/311139.html - 과학전문저널 SCIworth 기사 : https://sciworthy.com/one-mans-waste-soot-is-another-mans-rechargeable-battery/
(9) A new strategy for maximizing the storage capacity of lithium in carbon materials 저널 : Small, 14 (20), 1704394 출판 년도 (2018) Impact Factor : 9.598 (JCR 2023 기준 : 13.3) (Role : 1저자 & 교신저자, 석사생 2저자) - 표지 논문 (cover paper) 선정, front cover image - - selected article for video abstract 선정 - - 유튜브 : https://youtu.be/vg9GwyKwQ_g -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뉴스 : https://www.advancedsciencenews.com/maximizing-the-storage-capacity-of-lithium-in-carbon-materials/
(10) Maximization of sodium storage capacity of pure carbon material used in sodium-ion batteries 저널 :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7 (27), 16149-16160 출판 년도 (2019) Impact Factor : 10.733 (JCR 2023 기준 : 11.9) (Role : 1저자 & 교신저자, 석사생 공동 1저자) - 표지 논문 (cover paper) 선정, back cover image -
(11) Transition Metal (Fe, Co, Ni) nanoparticles on selective Amino-N-doped Carbon as High Performance Oxygen Reduction Reaction Electrocatalyst 저널 : Nanomaterials, 9(5), 742 출판 년도 (2019) Impact Factor : 4.034 (JCR 2023 기준 : 5.3) (Role : 교신저자)
(12) Nano hard carbon anode material for sodium-ion battery 저널 : Nanomaterials, 9(5), 793 출판 년도 (2019) Impact Factor : 4.034 (JCR 2023 기준 : 5.3) (Role : 교신저자, 석사생 1저자)
(13) Utilization of petroleum coke soot as energy storage material 저널 : Energies, 12(16), 3195 출판 년도 (2019) Impact Factor : 2.707 (JCR 2023 기준 : 3.2) (Role : 교신저자, 석사생 1저자)
(14) In situ synthesis of silicon-carbon composites and application as lithium-ion battery anode materials 저널 : Materials, 12(18), 2871 출판 년도 (2019) Impact Factor : 3.05 (JCR 2023 기준 : 3.4) (Role : 교신저자, 석사생 1저자, 석사졸업생 공동 1저자)
(15) Conversion of Black Carbon Emitted from Diesel-Powered Merchant Ships to Novel Conductive Carbon Black for Lithium Ion Batteries 저널 : Nanomaterials, 9(9), 1280 출판 년도 (2019) Impact Factor : 4.034 (JCR 2023 기준 : 5.3) (Role : 교신저자, 석사생 1저자)
(16) Novel Synthesis of Highly Phosphorus-Doped Carbon as an Ultrahigh-Rate Anode for Sodium Ion Batteries 저널 : Carbon, Volume 168, Pages 448-457, 2020 출판 년도 (2020) Impact Factor : 8.821 (JCR 2023 기준 : 10.9) (Role : 교신저자, 석사생 1저자) - 표지 논문 (cover paper) 선정, front cover image -
(17) A Novel Approach Through the Harmonized Sulfur in Disordered Carbon Structure for High-Efficiency Sodium-Ion Exchange 저널 :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12, 39, 43750-43760 출판 년도 (2020) Impact Factor : 8.758 (JCR 2023 기준 : 9.5) (Role : 교신저자, 석사졸업생 1저자, 석사생 2저자) - 표지 논문 (cover paper) 선정, inside cover image -
(18) Application of soot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of marine gas oil as an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저널 : RSC Advances, 10, 36478-36484 출판 년도 (2020) Impact Factor : 3.119 (JCR 2023 기준 : 3.9) (Role : 교신저자, 석사생 공교신저자)
(19) Hybrid molybdenum carbide / heteroatom-doped carbon electrocatalyst for advanced oxygen evolution reaction in hydrogen production 저널 : Catalysts, 10(11), 1290 출판 년도 (2020) Impact Factor : 3.520 (JCR 2023 기준 : 3.9) (Role : 교신저자)
(20) Maximizing the rate capability of carbon-based anode materials for sodium-ion batteries 저널 : Journal of Power Sources, Volume 481, 1, 228973 출판 년도 (2021) Impact Factor : 9.127 (JCR 2023 기준 : 9.2) (Role : 교신저자, 석사생 1저자)
(21) Enhancing ORR/OER Active Sites through Lattice Distortion of Fe-enriched FeNi3 Intermetallic Nanoparticles doped N-Doped Carbon for High-Performance Rechargeable Zn-air battery 저널 :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ume 582, Part B, 15, 977-990 출판 년도 (2021) Impact Factor : 8.128 (JCR 2023 기준 : 9.9) (Role : 교신저자)
(22) N2/Ar plasma-induced surface sulfonation on graphene nanoplatelets for catalytic hydrolysis of cellulose to glucose 저널 : Applied Surface Science, Volume 545, 15, 149051 출판 년도 (2021) Impact Factor : 6.707 (JCR 2023 기준 : 6.7) MATERIALS SCIENCE, COATINGS & FILMS 분야 JCR 1% (Role : 교신저자)
(23) Facile Synthesis of Manganese Selenide Anchored in Three-Dimensional Carbon Nanosheet Matrix with Enhanced Lithium Storage Properties 저널 :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Volume 423, 130243 출판 년도 (2021) Impact Factor : 16.744 (JCR 2023 기준 : 15.1) Engineering, Environmental 분야 / Engineering, Chemical 분야 JCR 2% 표지 cover invited (Role : 교신저자, 위탁지도 중국인 유학생 1저자)
(24) Hybrid ZnSe-SnSe2 nanoparticles embedded in N-doped carbon nanocubes heterostructure with enhanced and ultra-stable lithium storage performance 저널 : ChemElectroChem, Volume8, Issue24, Pages 4732-4744 출판 년도 (2021) Impact Factor : 4.59 (JCR 2023 기준 : 4) (Role : 교신저자, 위탁지도 중국인 유학생 1저자) - VIP (Very important paper) 선정 - - 표지 논문 (cover paper) 선정, front cover image -
(25) S and P dual-doped carbon nanospheres as anode material for high-rate performance sodium-ion batteries 저널 : Applied Sciences-Basel, 11(24), 12007 출판년도 (2021) Impact Factor : 2.679 (JCR 2023 기준 : 2.7) (Role : 교신저자, 석사생 1저자)
(26) SnSex (x = 1, 2) nanoparticles encapsulated in carbon nanospheres with reversible electrochemical behaviors for lithium-ion half/full cells 저널 :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Volume 431, Part 4, 1, 133463 출판 년도 (2022) Impact Factor : 15.1 (JCR 2023 기준 : 15.1) Engineering, Environmental 분야 / Engineering, Chemical 분야 JCR 2% 표지 cover invited (Role : 교신저자, 위탁지도 중국인 유학생 1저자)
(27) Facile in situ synthesis of dual-heteroatom-doped high-rate capability carbon anode for rechargeable seawater batteries 저널 : Carbon, Volume 189, 15, Pages 251-264 출판년도 (2022) Impact Factor : 11.307 (JCR 2023 기준 : 10.9) 표지 cover invited (Role : 교신저자, 석사생 1저자) PV-magazine 인터뷰 요청 및 진행 https://www.pv-magazine.com/2022/02/02/high-performance-seawater-batteries-based-on-novel-anode-material/
(28) Near Surface Electric Field Enhancement: Pyridinic-N rich few-layer Graphene encapsulating Cobalt catalysts as highly active and stable bifunctional ORR/OER catalyst for seawater batteries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Volume 310, 5, 121361 출판년도 (2022) Impact Factor : 24.319 (JCR 2023 기준 : 22.1) (Role : 교신저자)
(29) Carbon-metal complex as a functional material that governs the efficient conversion of Li2CO3 to LiOH-H2O 저널 :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2024,12, 8718-8723 출판 년도 (2024) Impact Factor : 11.9 (JCR 2023 기준 : 11.9) - 표지 논문 (cover paper) 선정, back cover image - (Role : 교신저자, 석사생 1저자)
(30) Sn-doped Carbon Black as an Active Conductive Additive for Lithium-ion Batteries 저널 : Batteries & Supercaps 2024, e202400294 출판 년도 (2024) Impact Factor : 5.7 (JCR 2023 기준 : 5.7) (Role : 교신저자, 석사 졸업생 1저자)
(31) Effect of Mixed Phase with Shape control on Lithium Ions Transport during Conversion Reaction in the Manganese Oxide Anode 저널 : Applied Surface Science, 688 (2025) 162374 출판 년도 (2025) Impact Factor : 6.3 (JCR 2023 기준 : 6.3) MATERIALS SCIENCE, COATINGS & FILMS 분야 JCI 1% (Role : 교신저자)
(32) Electrospun Carbon Nanofiber Framework with Miniature Carbon Nanofibers Growth for Free-Standing, Current Collector-Free, Binder-Free, and Conductive Additive-Free High-Performance Lithium-Ion Battery Anodes with Superior Conductivity, submitted 저널: Energy & Environmental Materials, 2025, 0, e12874 출판 년도 (2025) Impact Factor : 13.0 (JCR 2023 기준 : 13.0) (Role : 교신저자, 석사생 1저자)
(32) Cup-Stacked Carbon Nanotubes Synthesized with an Alkali Metal without Requiring a Catalyst Removal Process: Evaluation as a Conductive Additive for Lithium-Ion Batteries 저널: Journal of Energy Storage, Volume 110, 115210, 2025 출판 년도 (2025) Impact Factor : 8.9 (JCR 2023 기준 : 8.9) (Role : 교신저자, 석사생 1저자)
(34) two papers in preparation
평균 IF : 8.0 (JCR 2023 기준) 표지 cover invited : 9편 표지 논문 선정 : 6편
○ 주 저자(1저자/교신저지) SCI 논문 (인문사회계열) (1) From Seafarers to E-farers: Maritime Cadets’ Perceptions towards Seafaring Jobs in the Industry 4.0 저널 : Sustainability, 12(19), 8077 출판 년도 (2020) Impact Factor : 2.576 (JCR 2023 기준 : 3.9) (Role : 교신저자)
○ (공 저자 논문 - 본 연구실 아이디어 제공 및 재료 개발, 타 연구실 활용/평가 및 논문작성) (1) Improvement in methanogenesis by incorporating transition metal nanoparticles and granular activated carbon composites in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저널 :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27623~27629 출판년도 (2017) Impact Factor : 4.229 (JCR 2023 기준 : 7.2) (Role : 공저자)
(2) Synthesis of Hierarchical Micro/Mesoporous Carbon Foams by a Solution Plasma Process and NaOH Activation for Use in Supercapacitors 저널 :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Letters, 728~734 출판년도 (2018) Impact Factor : 2.917 (JCR 2023 기준 : 1.128) (Role : 공저자)
(3) Multifunctional Disordered Sulfur-Doped Carbon for Efficient Sodium-Ion-Exchange and 2-Electron-Transfer-Dominant Oxygen Reduction Reaction 저널 : Carbon, Volume 182, Pages 242-253 출판년도 (2021) Impact Factor : 9.594 (JCR 2023 기준 : 10.9) (Role : 공저자, 석사 졸업생 1저자)
○ 기타 공저자 SCI - 7편
○ 주요 특허 (주 발명자, 국내) - (1~17) 등록 완료 및 기술이전 완료 (1) 금속입자가 캡슐레이션된 금속-탄소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2) 탄소재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통한 인조흑연 제조방법 (3) 탄소나노입자-탄소재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4) 실리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5) 금속원자가 도핑된 유기금속-탄소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6) 내부에 공동이 형성된 리튬-탄소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7) 탄소나노튜브의 대량 합성방법 및 이로부터 합성된 탄소나노튜브 (8) 알칼리이온전지용 애노드 전극소재의 가역용량 증대방법 (9) 액상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합성방법 및 이로부터 합성된 실리콘-탄소 복합체 (10) 알칼리금속촉매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대량 합성방법 및 이로부터 합성된 탄소나노튜브 (11) 탄소나노튜브-탄소나노섬유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탄소나노튜브-탄소나노섬유 복합체 (12) 계층적 기공구조를 갖는 질소-탄소 집합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질소-탄소 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 이온전지 (13) 이종원소가 도핑된 다공성 탄소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다공성 탄소체 (14) 탄소 생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도전성 탄소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용 음극활물질 (15~17) 알칼리금속촉매를 이용한 탄소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탄소체 관련 3개 (18) 이종원소-탄소 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 커패시터를 기반으로 하는 담수화 방법 및 담수화 장치 (19)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20) 폐기물의 열분해 및 플라즈마 개질을 통해 생성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활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용 활물질 (21) 탄소나노튜브-탄소나노섬유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탄소나노튜브-탄소나노섬유 복합체 (22) 해수전지 기반 해상 스테이션 및 중소형 선박용 swapable 배터리 교체 시스템 (23) 수열합성 기반 나트륨이온전지용 하드카본 제조법 (24) 리튬이온전지용 리튬-실리콘 합금 및 탄소 복합소재 제조법
○ 주요 특허 (주 발명자, 해외) (1) 금속입자가 캡슐레이션된 금속-탄소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중국 등록 (2022.4) (2) 이종원소가 도핑된 다공성 탄소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다공성 탄소체 - 일본 등록 (2022.08) (3) 내부에 공동이 형성된 리튬-탄소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미국 등록 (2023.3) (4) 내부에 공동이 형성된 리튬-탄소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중국 등록 (2023.6) (5) 탄소나노튜브의 대량 합성방법 및 이로부터 합성된 탄소나노튜브 - 유럽 등록 (2023.8) (6) 이종원소가 도핑된 다공성 탄소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다공성 탄소체 - 미국 등록 (2023.6) (7) 폐기물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활물질 및 도전재 제조방법, 이를 통해 형성된 리튬이차전지용 활물질 및 도전재 - 중국 심사 중 (8) 계층적 기공구조를 갖는 질소-탄소 집합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질소-탄소 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 이온전지 - 중국 심사 중 (9) 계층적 기공구조를 갖는 질소-탄소 집합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질소-탄소 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 이온전지 - 미국 심사 중 (10) 탄소나노튜브의 대량 합성방법 및 이로부터 합성된 탄소나노튜브 - 미국 심사 중
○ 주요 수행 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글로벌 프런티어 사업 : 차세대 이차전지/연료전지 전극물질 개발 2015.6 ~ 2022.12 (2) 한국연구재단, 생애 첫 연구사업 : 고용량, 장수명 해수전지용 원천소재 및 그 합성기술의 개발 2018.3 ~ 2021.2 (3) 중소벤처기업부 : 선박 폐SOOT를 재활용하여 제조한 리튬이차전지 음극활물질 사업화 2018.12 ~ 2019.12 (4) 부산과학기술기획평가원 개방형연구실 사업 : 선박 폐soot의 이차전지용 도전재 전환기술 이전 사업 2019.3 ~ 2019.12 (5) 부산과학기술기획평가원 개방형연구실 사업: 해수전지의 실용화를 위한 고전압 및 고용량·장수명을 갖는 전극소재 개발 사업 2020.3 ~ 2020.12 (6) 중소벤처기업부, 테크브릿지 사업 : 폐soot를 활용한 인조흑연 제조, 2020.11 ~ 2022.10 (7) 한국연구재단, 4단계 BK21사업, 2020.9~ (8) 한국연구재단, 한국-태국 연구자 교류사업, 2022.11 (1 month) (9) 중소벤처기업부, 테크브릿지 사업 : 나트륨이차전지(나트륨 이온전지, 해수전지)용 고출력 음극소재 개발, 2022.8 ~ 2024.7 (10)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사업 : 알카리 금속 촉매 기반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복합소재 개발 & 에너지 소재 (이차전지 및 연료전지 전극소재) 로써의 응용연구, 2023.3 ~ 2026.2 (11) 부산테크노파크, 지산학 협력 기업R&D지원 사업 : 저온합성 및 무정제 공정을 통한 이차전지 도전재용 탄소나노튜브 상용화 기술개발, 2023.3 ~ 2023.12 (12)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 사업 : 플라즈마 제트 블랙 기술개발, 2023.8 ~ 2024.1 (13) 한화오션 : 해수전지기반 선박용 조수기 & 평형수처리장치 개발 (2023.7~2029.6) (14)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디딤돌 사업) : 유기성 폐기물의 플라즈마 분해로부터 생성되는 탄소재의 이차전지 음극재로의 전환 (2024.8~2025.7)
연구업적검색서비스
담당자 : 학과 사무실 / 전문대학원 행정실
전화 : 051-410-5395 / 051-410-5120[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
업데이트 : 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