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없음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HOME


KMOU NEWS 게시판의 작성자 홍보실씨가 2019.09.09에 등록한 해양안전엑스포에 해저드론, 해양사고 원인규명 시뮬레이션 등 전시의 상세페이지입니다.
해양안전엑스포에 해저드론, 해양사고 원인규명 시뮬레이션 등 전시
작성자 홍보실 등록일 2019.09.09

해양안전엑스포에 해저드론, 해양사고 원인규명 시뮬레이션 등 전시

최형식·이상갑·최경식 교수팀, 해양벤처진흥센터 3개 기업 참가

바다를 숨쉬게 하자플라스틱 프리 캠페인도 진행

 

 

2019 대한민국 해양안전엑스포가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열렸다. 올해 5회 행사로서 우리대학은 1회 행사부터 해양안전 관련 연구성과물을 전시, 해양안전 분야 연구 및 교육 선도대학으로서 위상을 널리 알렸다.

 

올해 해양안전엑스포에서는 기계공학부 최형식 교수팀의 수중드론 및 광통신 모듈’, 조선해양시스템공학부 이상갑 교수팀의 해양사고 원인규명 시뮬레이션’, 해양공학과 최경식 교수팀의 북극해 안전항로 찾기가 전시되었다. 또 교내 해양벤처진흥센터 해양드론기술팀의 안티드론 방호체계(해상드론)’도 함께 참가하였다.

 

            최형식 교수 연구실 '수중드론'                                             연구실 벤처기업인 해양안전기술을 운영하고 있는

                                                                                                                             이상갑 교수팀의 '해양사고 원인규명 시뮬레이션'

 

수중 드론 및 로봇 분야 권위자인 최형식 교수는 올해 세 번째로 전시회에 참가해 해양안전 연구 분야에서 수중 드론이나 로봇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한번 보여주었다.

 

이상갑 교수는 해양사고 원인규명에 최초로 양방향 유체-구조 연성해석기법을 활용해 충돌, 좌초, 전복, 침몰 등 해양사고 원인규명과 선체안전성을 평가하는 통합분석시스템을 개발했으며 다양한 원인규명 사례를 동영상으로 보여주었다. 이 교수는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해난사고 원인규명 통합분석을 실용화했으며 연구실 벤처기업인 해양안전기술을 운영하고 있다.

 

최경식 교수는 일반 해역과 달리 위험요소가 상존하는 북극해 등 극지 빙해역에서 선박의 안전운항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주었다. 쇄빙선박을 이용한 빙해양 현장 계측, 해빙 재료 특성과 빙하중 데이터를 분석해 북극해 안전운항을 위한 항로를 결정하는 알고리즘 개발과정 등을 동영상을 통해 전시했다.

 

 최경식 교수 연구실은 '북극해역에서 선박 안전운항 기술'                 해양벤처진흥센터 해양드론기술팀의 해양드론 방호체계'

                     연구를 동영상으로 보여주었다.

 

해양벤처진흥센터에서는 입주기업 해양드론기술이 무인헬기, 전자파 등 해양드론 방호체계를 통해 바다에서 드론기술의 발전수준과 적용 가능성 등을 실물을 통해 자세히 알 수 있도록 보여주었다.

 

또 홍보실은 바다생태계를 지키기 위한 플라스틱 프리 챌린지 캠페인을 진행했다. 소셜미디어에 플라스틱을 되도록 쓰지 않겠다는 캠페인 동참의 뜻을 밝힌 참가자들에게 1회용컵을 줄일 수 있도록 텀블러를 선물로 증정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

 

   '바다를 숨쉬게 하자' 플라스틱 프리 챌린지 캠페인 현장      

 

한편 해사대학 학생 240여명은 5해양분야 취업준비 길라잡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국제해양안전 컨퍼런스 토크쇼에 참석해 해양 기관 담당자들과의 대화시간을 가졌다. 해양수산부,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한국선급,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연수원, 현대중공업이 참가해 기관 및 기업을 설명하고 취업일정 및 취업을 위한 세부적인 사항을 질의·응답하는 토크콘서트를 진행했다.

 

최은정 홍보실장은 올해로 다섯 번째로 해양안전엑스포에 참가했는데 해양안전분야에서 우리대학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느꼈다면서 해양안전 기술 연구뿐 아니라 해양생태계 보호 캠페인, 생존수영을 비롯한 해양안전 교육 등 바다를 안전하게 지키려는 다양한 노력을 보여주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