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없음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KMOU PEOPLE

HOME대학소개홍보센터KMOU PEOPLE


KMOU PEOPLE

KMOU PEOPLE 게시판의 작성자 최인락씨가 2023.01.03에 등록한 전자전기정보공학부 나노반도체공학전공 이삼녕 교수팀, 광학 분야 SCI 저널 「Advanced optical materials」 논문 게재의 상세페이지입니다.
전자전기정보공학부 나노반도체공학전공 이삼녕 교수팀, 광학 분야 SCI 저널 「Advanced optical materials」 논문 게재
작성자 홍보팀 등록일 2023.01.03

좌측 이삼녕 교수 (교신저자), 우측 이하영 박사 (1저자)



전자전기정보공학부 나노반도체공학전공 이삼녕 교수팀, 광학 분야 SCI 저널 「Advanced optical materials」 논문 게재

 

전자전기정보공학부 나노반도체공학전공 이삼녕 교수팀의 이하영 박사 (대학원 해양인공지능융합전공·박사후 연구원)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하동한 박사가 공동 연구한 'Direct current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based on plasmon-enhanced solar radiation pressure' 에 대한 논문이 광학 분야 상위 8.42% 저널 「Advanced optical materials」 (Impact Factor 10.05)202313accept되었다.

 

본 연구는 Ag 60nm 표면에 형성된 수 많은 나노 크기의 입자를 가진 crater 구조를 이용하여 태양 빛의 압력을 증폭시키고 이를 압전 물질인 PZT에 가하게 하여 전기적 출력을 얻었다.

 

특히,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이 발생하는 상부 전극의 종류와 두께를 최적화하여 396 μW/cm2의 전력 밀도를 얻었으며, 일반적으로 교류 출력이 형성되는 압전 물질에서 직류 출력이 형성되는 소자의 메커니즘을 FDTD simulation, COMSOL multiphysics, charge formation analysis를 통해 해석하였다.

 

이는 정류기를 따로 거치지 않기 때문에 출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점과 태양 빛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