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없음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KMOU PEOPLE

HOME대학소개홍보센터KMOU PEOPLE


KMOU PEOPLE

KMOU PEOPLE 게시판의 작성자 최인락씨가 2021.12.21에 등록한 우리 대학 학생들 제17회 부산미래과학자상 수상 의 상세페이지입니다.
우리 대학 학생들 제17회 부산미래과학자상 수상
작성자 홍보담당관 등록일 2021.12.21
수상자들이 상패를 들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우리 대학 학생들 제17회 부산미래과학자상 수상

 

석사과정 부문 최우수상, 대학생 부문 우수상

 

우리 대학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 임솔거 석사과정생(석사 2년 차)과 해양과학기술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오창엽 학부생(4학년)2021년도 제17회 부산 미래과학자상에서 대학원생 석사과정 부문 최우수상과 대학생 부문 우수상을 각각 수상했다.

 

부산 미래과학자상은 지난 2005년 부산과학기술협의회와 부산광역시·국제신문이 공동으로 부산지역 이공계를 이끌 젊은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제정한 상으로 석사과정 부문의 경우 예비 수상자의 대학원 전체 연구실적을 정량적·정성적으로 분석하여 1차 심사한 이후 구술 발표 심사를 통해 수상자를 최종 결정하며, 학부생 부문의 경우 연구 결과의 서면 심사와 구두 발표 심사의 종합 평가를 통해 수상자를 결정한다.

 

임솔거 학생의 수상 논문은 ‘Azeotropic Clathrate: Compelling Similarity of CO2 and N2O Uptake in an Organic Crystalline Host’으로 상온에서 온실가스를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클라스레이트 기반 온실가스 분리기술(CBGS: Clathrate-Bsed Greenhouse gas Separation) 개발에 관한 연구 결과로서 이산화탄소와(CO2) 아산화질소(N2O) 가스 혼합물로 만들어진 클러스레이트 화합물이 모든 가스 혼합물 구성 비율에서 공비적 객체 거동을 나타내는 클러스레이트임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해당 논문은 화학공학 분야 상위 2.5% 저널(143개 중 4)화학공학 저널(Chemical Engineering Journal)」(Impact Factor 13.273)에 임솔거 학생이 제1저자로서 게재됐으며, 지난 11월에 LinkedInTwitter를 통해 학교의 우수 연구로 이미 국내·외에 알려져 있다.

 

오창엽 학생의 수상 논문은 ‘CsI 전해질 수용액에서 형성된 SF6, CHClF2(R22) 하이드레이트의 상평형 및 분광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로 하이드레이트 기반 담수화 기술을 이용하여 방사성폐수로부터 담수의 회수 가능성을 규명했으며 특히 오창엽 학생의 경우에는 단독 우수상 수상이기에 더욱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임솔거 학생은 해양과학기술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학부와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 석사과정을 졸업(20222월 졸업 예정)하고 박사과정 진학을 앞두고 있으며, 오창엽 학생도 해양과학기술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를 졸업(20222월 졸업 예정)하고 석사과정 진학을 앞두고 있다. 수상한 두 학생 모두 대학원에서 관련 분야 연구를 계속하여 훌륭한 연구자가 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