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진 교수, 산업통상자원부 「CCUS 상용기술 고도화 및 해외저장소 확보를 위한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 수주 물류·환경·도시인프라공학부 김명진 교수(사진)가 산업통상자원부의 「CCUS 상용기술 고도화 및 해외저장소 확보를 위한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과제명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해수담수화 농축수 활용 바테라이트형 탄산칼슘 대량생산 상용기술 실증’이다. 「CCUS 상용기술 고도화 및 해외저장소 확보를 위한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 사업은 탄소중립 실현에 필수적인 해외저장소 확보하고 CCUS(탄소중립) 관련 기술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이다. 해당 과제를 통해 성공적인 기술개발을 위해 3년에 걸쳐 약 22억 7000만 원의 연구비가 김명진 교수와 ㈜태경비케이(주관연구개발기관), 사우디아라비아 DTRI에 지원된다. DTRI는 사우디아라비아 해수담수화청(SWCC)의 산하 연구소다. 해당 기술은 해수담수화 농축수를 이용해 미립자 바테라이트형 탄산칼슘을 생산하고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기술로, 우리 대학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한 국내 순수 기술이다. 해당 과제에서 원천기술을 개발한 김명진 교수는 생산 공정의 최적화와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담당한다. 함께 참여하는 국내 탄산칼슘 생산 최대 기업인 ㈜태경비케이는 바테라이트형 탄산칼슘 대량생산 실증 및 국내 시제품 생산을 담당하고, 세계 최대 해수담수화 기관인 사우디아라비아 SWCC/DTRI는 사우디아라비아 현지 바테라이트형 탄산칼슘 시제품 생산을 담당한다. 김명진 교수는 “본 과제를 통해 국내 및 중동지역의 CO2 저장능력을 가진 바테라이트형 탄산칼슘 제조설비를 구축하여 전 세계적 화두인 탄소중립 및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목표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명진 교수는 CCUS 및 폐기물 자원화 기술을 개발·실증·상용화할 뿐만아니라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탄소중립자원화연구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다. 서동환 산학협력단장은 “ESG경영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해당 과제를 통해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대학기술을 활용하여 글로벌 기술사업화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